알라딘

헤더배너
디디의 우산 한국 괴물 백과 초등 자존감의 힘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황정은 연작소설, "행복해지자고 d는 생각했다.""
디디의 우산
황정은 지음 / 창비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황정은 연작소설. 김유정문학상 수상작 <d>와 (발표 당시 '웃는 남자'로 소개되었다.) 문학3 웹 연재작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가 함께 실렸다. d가 dd를 만나고, 그를 잃은 이후의 이야기 <d>와 20년 간 함께 살아온 김소영과 서수경의 이야기 <아무 것도...>의 인물과 서사는 언뜻 보기엔 차이가 느껴지지만, 이야기를 읽다 보면 같은 시대와 같은 장소를 오가며 '혁명'의 한 순간이 공명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시위대가 행진하는 광화문, '재생'을 시도하는 구도심. '결과물에 만족하지 못하는 고객이 많았으므로 고객을 대하는 그의 태도에는 친절과 불안과 비굴함이 섞여' 있었던 아버지를 보고 자란 d와 "내 딸들이 왜 이렇게 되었을까? 그 애들이 왜 이렇게 예민해졌을까?"를 생각하는 아버지를 둔 김소영과 김소리.

소음과 소리의 세계에서 전쟁과 재난과 개인적인 죽음들을 회고하는 d의 애도. 혁명이 펼쳐지는 한복판에서 1996년의 연세대를, 스스로 도망쳐 나온 대학 생활을, 어느 포도밭을, 2009년의 용산을, 애도와 분노가 교차한 2014년의 광화문을, 다시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던 2016년의 광장을 떠올리는 '나'(김소영)의 사유가 가리키는 방향. 삶과 죽음, 사랑과 사회를 사유하는 이들의 모습. '그것을 알/생각할 필요가' 없어서, 남을 열심히 생각할 이유가 없어서, 말하지 않는 사람들의 뒤에, 이를테면 '혁명' 뒤에 여전히 이들이 있다. 두 소설 사이에 놓인 문장 "모두가 돌아갈 무렵엔 우산이 필요하다" 처럼, 광장 이후의 시대를 사유할 이들에게 꼭 이런 소설이 필요할 것이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첫 문장
다섯시 의례가 시작되기 직전에 d는 번개를 보았다.

책 속에서
당시에 기계공학과 96학번이자 학생회 일원이었던 L의 이름을 말하면서 서수경은 1996년 8월 이후로 몇달 동안 L이 주기적으로 학교에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달에 사흘 정도...... 생리주기였다. 그의 규칙적인 결석은 '별난' 생리 증후군으로 회자되었고 트라우마로 인정되지 않았다. 트라우마. 서수경은 그 말을 하고 한동안 침묵했다. 내가 그것을 트라우마로 생각할 수 있었던 것도 시간이 많이 흐른 뒤였어. 당시엔 그냥 이렇게 생각했지. 저 아이가 많이 예민해서 그 일을 견디지 못하는구나. 나중엔 그 예민함이 조금 괴상하기도 했어. 우리 다 같이 그 공간에서 그 사건을 겪었는데...... 어쩔 수 없었잖아, 하고.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생리혈로 얼룩진 바지를 입고 지낸 것이 그 정도로 부끄러울 일은 아니라고 나는 생각했던 것 같아. 그 애는 누구에게도 그게 어땠는지를 말하지 못했을 거야. 우리는 그 장소에서의 경험 자체를 별로 말하지 않았지. 고통스러운 기억이었고, 굳이 말하지 않아도 모두 같은 걸 겪었으니 다 안다고 생각했으니까.

<아무 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중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한국에 괴물이 이렇게 많(았)다니!"
한국 괴물 백과
곽재식 지음, 이강훈 그림 / 워크룸프레스(Workroom)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괴물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 그렇다 해도 실제 괴물을 반갑게 마주하기는 쉽지 않을 듯하다. 그런데 괴물을 궁금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까? 당장 내 앞에 나타날 일은 없다는 근거 없는(?) 믿음에, 사람들이 어떤 생각과 마음으로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았는지를 괴물에 비춰볼 수 있다는 호기심이 더해져, 마주하고 싶지 않은 괴물의 흔적을 찾아보며 굳이 만나려 하니 말이다.

이 책은 그런 마음을 가진 이들에게 한반도에 살았던(?) 괴물의 모습과 이력을 샅샅이 찾아 전한다. SF 작가 곽재식은 11년에 걸쳐 각종 사료를 뒤적이며 괴물의 목록과 활약상을 정리했고, 일러스트레이터 이강훈은 글만으로는 닿기 어려운 괴물의 모습을 흑, 백, 적으로 생동감 있게 그려냈다.

이렇게 모인 282종의 괴물을 뒤적이다 보면, 이런 괴물까지 상상했단, 아니 만났다는 말인가 싶은 놀라움과 이런 괴물은 지금도 있으면 좋을 텐데 싶은 엉뚱한 생각까지, 재미난 이야기들이 마구 샘솟는 기분이다. 어쩐지 괴물과 너무 친해지는 기분인데, 그렇다면 오늘밤 꿈에 괴물이 나타나도 반갑게 이야기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이야기 들었다. 고생 많았다며. 다른 애들은 어떻게 된 거야?"라면서 말이다. - 인문 MD 박태근
이 책의 첫 문장
버섯이 핀 모양과 비슷한데, 버섯의 바탕이 되는 부분은 나무로 만든 가면 같다.

이 책의 한 문장
무고경주(無故驚走, 이유 없이 놀라 뛴다): 형태와 소리와 빛깔이 없지만 나타나면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그 공포는 주변 사람들에게 삽시간에 퍼져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이라면 수백 명에서 수천 명이 미친 듯이 도망치고 몸을 다치는 소란이 일어난다. 660년 백제에서 시장에 나타나 큰 혼란을 일으켰다. 이때 밟히고 넘어져 죽은 사람만 100명을 넘어섰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교실 속 사례로 보는 아이의 자존감"
초등 자존감의 힘
김선호.박우란 지음 / 길벗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보통 자존감을 '자아존중감'이라고 한다.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놓치지 않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초등 아이들에게는 자신이 지금 여기 있음을 아는 '자아 존재감'이 먼저다. 아이들이 하루의 반을 보내는 초등 교실, 시선 획득과 '쩌는 존재감'은 목숨보다 중요해서 아이들은 매일같이 승부를 펼친다. 초등학교 교사, 상담심리 전문가인 저자들은 교실 속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초등 아이들의 자존감이 무엇인지, 우리가 흔히 가지는 자존감에 대한 오해, 자존감을 키우는 실질적인 방법을 알려준다.

무조건적인 칭찬이 자존감을 높이지도 않고, 야단을 친다고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지지도 않는다. 활달하고 자신감 넘쳐 보이는 아이가 오히려 가면우울증에 걸려 있을 수도 있다. 아이의 평생을 좌우할 자존감을 키우는 시기, 부모가 자존감에 대해 제대로 알고 올바르게 훈육하는 것이 최고의 교육일 것이다. - 좋은부모 MD 강미연
이 책의 첫 문장
아이는 초등 시기 학교 공동체에서 보다 많은 타인들과 함께하며 자신을 발견합니다.

저자의 말:
양육자로서, 교육자로서 자존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지막 때인 초등 시기를 부모가 놓치게 하고 싶지 않아 이 책을 썼습니다. 안타깝지만 초등학생을 둔 많은 학부모가 자존감에 대해 잘 모릅니다. 초등 교실에서 매일매일 이뤄지는 자존감 싸움의 사례를 통해 우리 아이 자존감 키우기의 비밀을 알아보세요. - 초등교육 전문가 김선호

초등 6년은 자존감, 대인관계 경험과 기술,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등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반이 다져지는 기간입니다. 자녀의 행동마다 지적하고 개입하려는 충동을 억제하세요. 부모로서 아이의 존재감을 충분히 느껴주는 태도가 먼저입니다. 존재감을 각인하는 순간 아이의 자존감은 쑥쑥 성장합니다. - 상담심리 전문가 박우란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밥벌이가 지겹지만 퇴사도 번거로운 일"
싫다면서 하고 있어 하하하
최현정 지음 / 위즈덤하우스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퇴사를 결단하는 체크리스트부터 아름답고 현명하게 회사를 떠나는 방법까지, 퇴사를 둘러싼 이야기가 넘쳐나는 요즘이다. 그럼에도 막상 주변을 둘러보면 퇴사를 실행하는 이는 많지 않다(물론 나만 모르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어쩐지 다른 곳도 별다르지 않을 듯하고, 바깥은 겨울 추위보다 냉랭할 것 같은 불길한 예감 때문일까. 이런 생각으로 하루하루 버티다 보면 지금도 그럭저럭 살 만하지 않은가 하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데, 이쯤 되면 마침 퇴근시간이니 피시 전원과 함께 모든 생각을 종료하고 하루를 마무리한다.

자, 이제 다음 날이 밝았다. 어제와 같은 하루를 반복할 것인가. 그렇다, 어제처럼만 지나가도 좋겠다. 그렇지만 회사는 그리 만만한 곳이 아니다.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끊임없이 요구하며, 나를 어제보다 못한 나로 몰아넣는다. 결단이 필요하다. 물론 어제 생각했듯 퇴사는 당장 답이 아닌 것 같으니, 이곳에서 적절히, 적당히, 무리없이 살아갈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이 지난한 과정을 앞서 걸어간 작가는, 넘치치도 모자라지도 않는 중용의 미덕을 "됐어, 오늘은 이 정도면 충분해"로 훌륭하게 번역해낸다. 어느새 오늘도 퇴근시간이다. 이 한 마디를 몸과 마음에 새겼으니, 물론 오늘도 충분한 하루다. - 에세이 MD 송진경
이 책의 첫 문장
늦은 새벽, 회사 공용 회의실에서 잔업을 하던 중이었다.

퇴근길 이 책 사용법
욕 나오는 회의 후, 혹은 퇴근길에 이 책을 편다.
밥벌이 때문에 밥맛을 잃게 되는 웃픈 상황들을 공감한다.
밥도 씹을수록 맛있는 것처럼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을 잘근잘근 씹어본다.
밥 짓기도 망하면서 느는 것 아니겠는가. 내 실수도 다시 한 번 체크한다.
과식하면 큰일나듯이 일에 대한 과한 기대를 내려놓고 담백하게 생각해본다.
퍽퍽한 밥엔 반찬이 필요한 법. 작은 움직임으로 잊었던 유쾌함을 끄집어낸다.
‘훗, 원래 적당히 일하려 했어. 계획대로 되고 있어’를 외치며 멘탈을 회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