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02일 : 67호

라인G1

이 책이 지금

진짜는 진짜를 알아보는 법

무제출판사를 운영하는 배우, 출판인 박정민 님께서 성해나의 <혼모노>를 추천하며 이 책의 대립항에 '넷플릭스'를 둔 것도 우연이 아닙니다. (책이 나오면 꼭 다음 문장을 적어 주변 감독님들에게 선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넷플릭스 왜 보냐. 성해나 책 보면 되는데.' 박정민 드림.) 이효석문학상 우수작품상, 소설 보다 선정, 젊은작가상 수상 등에 빛나는 작품이 수록된 성해나의 이번 소설집은 무엇보다 재미있습니다. 잘 만든 영상 컨텐츠 한 편을 본 것처럼, 한 편의 소설이 끝나면 압도되었다는 감각이 남습니다.

#덕질 #길티플레저 #진짜가짜 #남영동대공분실 #건축 #스타트업 #농촌재생사업 #밴드 #청춘 등의 각각의 키워드를 따라 어떤 이야기를 선택하셔도 충분히 맛있게 드실 수 있을 듯합니다만, 읽고 며칠이 지나 제게 유독 기억에 남는 소설은 <구의 집: 갈월동 98번지>입니다. 남영동 대공분실의 진짜 설계자에 관한 '팩션'입니다. + 더 보기

98쪽 : 알 수 없습니다.
미스터 김이 한국어로 무어라 웅얼거리며 말을 이었다. 말소리가 뭉개져 명확히 알아들을 수 없었지만 꼭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았다.
하지만 안다고 해도 달라지는 건 없겠죠.

라인y1

한국문학 MD는 지금 스마일

공항 소설(Airport Novel)이라고 분류되는 소설이 있습니다. 탑승구 바로 앞에 있는 서점에서 잘 팔릴 법한 소설을 얘기하는데요, 지루한 비행시간 동안 읽기 좋은 스릴러 소설류를 통칭한다고 합니다. '공항에서 일주일을' 보냈던 작가 알랭 드 보통의 이야기처럼, 공항은 책과 잘 어울리는 공간입니다.

공항에서 마지막으로 책 한 권을 산다면 제가 사고 싶은 책은 도착할 여행지에 관한 소설, 여행에 관한 소설입니다. 정선임, 김봄, 김의경, 최정나는 다가올 여행을 스케치하기 좋은 소설을 내놓았습니다. 포르투갈 리스본, 인도 벵갈루루, 태국 방콕을 거쳐 사이판을 지나는 여정을 통해 팬데믹 이후 전쟁과 테러, 파시즘이 얼룩진 세계에 서술자가 놓입니다.

라인y1

출판사는 지금 : 자음과모음

한국문학의 흐름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굽이치고 있습니다. 이런 한국문학의 새로운 면면을 만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을 표방하는 ‘자음과모음 <트리플> 시리즈’는 완전한 숫자 ‘3’에 천착해 많은 것을 3으로 묶어 내보이는 시리즈입니다. 책의 얼개가 소설과 에세이, 해설 3파트로 이루어져 있고, 소설 또한 3편이 담겨 있습니다.

이 독특한 구조 덕분에 작가는 트리플 시리즈에서 일반적인 소설집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흥미로운 시도들을 할 수 있으며, 독자는 한국문학의 현대를 시차 없이 접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작가-작품-독자가 함께 어우러지는 것이죠.

한국문학의 변화에 발맞춰 시리즈에서 다루는 장르들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이야기는 물론(『일주일』) 미스터리-공포-환상의 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들기도 합니다(『말은 안 되지만』). 『꿰맨 눈의 마을』이나 신작 『세 평짜리 숲』처럼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모습을 논하기도 하고요.

또한 지금까지 시리즈 내 도서의 카테고리를 ‘소설(집)’로 통칭해왔다면, 30권 『세 평짜리 숲』부터는 독자들이 원하는 책을 더 손쉽게 고를 수 있도록 표기 방식을 보다 세분화하여 ‘소설’ ‘연작소설’ ‘연작 장편’으로 구분해 출간하고 있습니다. + 더 보기

라인y2

뒤집으면 다른 이야기가 됩니다

편집의 묘를 살린 장르소설 두 권을 함께 가져왔습니다. <홍학의 자리> 정해연의 신작 소설은 사회문제로 부상한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습니다. 대개의 교통사고가 그렇듯 가해자가 피해자일 수 있고, 피해자가 가해자일 수 있습니다. 이 소설은 서로의 다른 입장을 부각하기 위해 아래 사진(아래)처럼 양 쪽의 이야기를 반대편에 배치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앞에서 읽으면 김혜정의 이야기, 뒤집어서 뒤에서부터 읽으면 노균탁의 이야기로 시야를 바꾸어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스토리움 추천 스토리 선정작인 <베이비시터>엔 세 가지결말이 있습니다. 교회에서 만난 부부 ‘소범수’와 ‘진이경’의 제안으로 베이비시터로 일하게 된 대학생 ‘인주해’는 대저택의 어린이 ‘소혁우’가 위험한 살인마가 될 것을 알게 됩니다. 도망칠 것인지, 교화를 위해 곁에 남을 것인지 그의 선택에 따라 결말은 세 가지로 바뀝니다. 아래 사진처럼(위) 세 장으로 분리된 각자의 결말을 선택해 읽을 수 있습니다.

라인G2
이번 편지 어떻게 보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