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조규익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57년,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

최근작
2025년 3월 <고전시가 맥락 읽기>

조규익

충남 태안 출생. 공주사범대학 국어교육과(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사ㆍ박사) 졸업. 해군사관학교(1981-1984)ㆍ경남대학교(1984-1986)ㆍ숭실대학교(1987-2022)의 교수 역임. 숭실 재직 시 인문대학장과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을 겸했고, 베스트 펠로우 교수(Best SFP/2010-2012) 및 아너 펠로우 교수(Honor SFP/2012-2022)로 선정되어 연구 지원을 받았으며, 한국시조학술상ㆍ성산학술상ㆍ도남국문학상ㆍ황조근정훈장 등을 받았음. 현재 숭실대 명예교수로서 에코팜(공주 정안 높은덕골)에 거주하며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를 이끌고 있음. 1998년 LG 연암재단 해외연구교수로 미국 UCLA에서 1년, 2013년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로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에서 반년 동안 색다른 연구 분위기를 경험했고, 2005년 후반~2006년 초반 6개월간 자동차로 유럽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 자취들을 답사하며 값진 깨달음을 얻었음. 1990년대 초부터 우연히 만난 중국 조선족 문학, 재미 한인문학, 구소련 고려인 문학 등을 통하여 한국문학 전반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얻었음. ��해외 한인문학의 한 독법��(2023), ��한ㆍ중ㆍ일 악장의 비교 연구��(2022) 등 저ㆍ편ㆍ역서 다수, 「‘동동’ 텍스트의 본질」ㆍ「현실과 이상, 그 미학적 화해의 도정-고려인 극작가 한진의 문학세계」 등 논문 다수, 「조선조 사행록 텍스트의 본질」ㆍ「Ecological Meaning of the Capital-Feng Shui Represented in Songs of Joseon Dynasty」 등 다수의 국내ㆍ외 학술발표 실적이 있음.

홈페이지 http://kicho.pe.kr, http://www.ikla.kr
블로그 http://kicho.tistory.comhttps://blog.naver.com/kicho_57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 - 2007년 7월  더보기

노래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같다. 인간의 오욕칠정을 두루 담을 수 있을 만큼 쓰임새가 넓고 아름다운 그릇이 노래다.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무수한 노래들이 만들어져왔고, 불려왔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옛 노래들을 고전시가 혹은 전통시가로 통칭하며 ‘시문학’의 관점에서만 분석하고 연구하니, 노래의 본질은 오도될 가능성이 크다. 시는 시고, 노래는 노래다. 시에 음곡을 붙이면 노래가 되지만, '그냥 시'와 '노래로 불리는 시'는 엄연히 다르다. 까마득한 옛날의 노래들은 문학과 음악 혹은 무용이 함께 어우러진 '종합예술'의 한 부분이었다. 그 점을 인정해야 그 노래들을 즐기며 내뿜던 ‘신명’의 정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로부터 변이 · 생성된 것이 오늘의 노래며 시문학이다. 그러니 따분하게 책상머리에 들러붙어 글자 수와 운율이나 헤아린대서야 우리의 옛 노래에 대한 '제대로 된 대접'이라 할 수 있겠는가.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