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김기룡

최근작
2025년 2월 <천연기념물로 보는 한국의 지형·지질>

김기룡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석사, 교원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교육과(지질학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 인천여자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 교사로 첫 근무를 시작하여 인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연구사, 과학·영재교육 장학관 등을 거쳐 삼산고등학교 교장으로 37년간 교직을 마쳤다. 1998년 인천지구과학교사연구회를 결성하여 전국의 지형·지질유산을 답사하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형, 암석, 화석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이를 교육에 활용·보전하는 데 노력해 왔다. 저서로는 고등학교 교과서 『지구과학 I·II』, 『사진으로 살펴보는 김기룡의 인천섬 이야기』, 『서해섬·옹진섬·강화섬과 떠나는 자연과 역사, 문화 산책』 등이 있다. 현재 인천 앞바다 섬이 지닌 소중한 자연 및 문화유산의 가치를 발굴·홍보하고자 인천섬유산연구소를 창립하여 이사장으로 재직하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19년 백령, 대청, 소청도가 백령·대청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는 데 기여했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등재를 위해 힘쓰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강화 섬으로 떠나는 자연과 역사 문화 산책> - 2017년 5월  더보기

지구과학 교과의 교육적 효과를 크게 얻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지식과 야외에서의 경험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소신으로 1998년에 인천지구과학교과연구회를 조직하여, 2001년부터 전문가를 초청하여 진행한 지질답사 활동이 벌써 17년째가 되었습니다. 선캄브리아대 암석부터 시작하여 신생대 제4기 암석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지질답사 활동이 정착되어 현재에는 국내를 벗어나 백두산, 하와이, 미국서부, 호주서부 지역까지 자비를 들어가면서 교사들의 전문성을 키우고 있어 전국적으로도 활발한 교과연구회가 되었습니다. 전국의 여러 지역을 지질답사 하던 중 인천의 Blue ocean인 인천광역시 관내의 여러 섬들에 숨겨진 지질 명소와 역사, 문화유산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2014년에는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에 있는 자연과 역사문화 유산을 연구하여 보고서를 출간하였고, 2015년에는 덕적·소야도, 굴업도, 자월도, 이작도, 승봉도, 영흥도에 있는 자연과 역사문화 유산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완성하였습니다. 2016년에는 인천광역시에서 공모한 인천가치재창조 선도 사업에 ‘함께해요 인천 섬 여행’이 선정되어 1년 동안 인천 섬이 간직한 자연과 역사·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인천 섬의 자연과 역사·문화유산 기행이라는 체험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일반인이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앱으로 개발하여 탑재하였습니다. 강화 섬은 11개의 유인섬과 17개의 무인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이 합류하는 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퇴적물이 공급되고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커 갯벌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을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강화 섬의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강화 섬에는 민족의 성지 마니산 참성단, 700여년 이상된 해상관방유적, 세계역사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군, 우리나라 최고의 사찰로 알려진 전등사, 고려궁지 등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알려진 강화도와 교동읍성, 연산군 유배지,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인 교동향교, 관미성으로 추측하고 있는 화개산성, 사신당, 60년대의 시골 시장의 추억을 이끌어내는 대룡시장 등이 있는 교동도, 우리나라 3대 해상관음성지 중 하나인 보문사, 낙가산 중턱의 신비롭게 생긴 눈썹바위 등을 간직한 석모도, 모래갯벌이 한없이 넓게 발달하고 석양이 멋있는 주문도, 함티탄늄자철석 광산이 있었던 볼음도 등 섬 마다 특색 있는 소중한 자연과 역사·문화유산을 즐비하게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강화 섬(강화, 교동, 석모, 볼음·주문도)에 대한 자연과 역사·문화유산에 대해 사진과 스토리텔링으로 쉽고 재미있게 다루었습니다. 부디, 이 책자가 강화 섬을 찾는 사람들에게 그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